10.18
수용적인 문화 운용(?) 방식 / 지식 체계 방식에서 벗어나서
1. 한국만의 모더니즘을 파악하고
2. 그것에 대해 회고하고 - 과연 어떤 면에서 성공적이고, 이면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3. 현대 한국의 단점 등과 결합해 생각해보면서
발표: 한국의 포스트 모더니즘을 위한 방법론
컨텍스트를 리드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 Context Leading Skill
가전제품은 리드하고, 핸드폰도 하는데, 왜 패션은 안되는가
? 탐험 정신과 탐구 정신과 실험 정신
P 박수칠 수 없는 사회
>>10~15장 내외로 발표자료 준비
Metaphor
역사적 요소들의 도입 & 결합 > (이걸 우리나라에서는 그저 카피)
- Michael Graves
- 새마을 식당과 아웃백 스테이크
- 마리오 보타
- 필립 스탁
- Symbolic > Dual Code > Metaphor
- Katherine McCoy
Communication
짧은 시간에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있는
Intertextuality - 상호 텍스트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언어간의 / 이미지와의 /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연구
- BBC VS KBS
Juxtaposition - 병치혼합
Chaotic Contextual Identity
정체성없이, 그저 서양의 메타포를 배끼기만 한다는
Reinterpretation of Vernacular
토속 문화의 재해석

잇세이 미야키
일본 특유의 문화를 세계화시킨 브랜드

한미은행 옛날 로고
왜 한국은 혼돈의 맥락을 가지고 있는가
"금"행이 아니고 "은"행인가
은행이라는 보수성이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주자를 로고로 쓰는게 말이되나?

INIS MEAIN
지역색을 살려서 맥락을 창조해내는
"왜 우리 스스로의 문화를 수용함에 있어서 우리는 너무도 자학적인가" 칠곡과 Seven Vally - 얼마나 멋있게 연건동과 이화동의 아이덴티티 변산의 해수찜

새마을식당과 아웃백
둘러앉아 나눠먹는 새마을식당
모여있지만 각자 음식을 먹는 아웃백

Greimasian Semiotic Square

스위치와 호롱불
호롱불을 끌 때의 모션
광원의 위치가 호롱불은 낮다
불어서 끈다거나 / 손으로 휘젓거나
당시 빛은 "내가 있음"을 의미
그래서 그림자는 필수적인